본문 바로가기

임만배 (MAN-BAE LIM) 논문수  · 이용수 560 · 피인용수 3

소속기관
한국해양공학회
소속부서
-
주요 연구분야
공학 > 조선해양공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Anisotropy(이방성)
#Apparent Negative Crack Growth(균열길이 감소 현상)
#Asymmetrical Waveform(비대칭파형)
#Blunting Line(둔화직선)
#Crack Growth Rate(크랙성장속도)
#Crack length 균열길이
#Crack Tip Open Displacement(균열선단 개구변위)
#Effect of side grooved 측면홈 효과
#Effective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유효응력확대계수폭)
#Elastic plastic fracture toughness 탄소성파괴인성
#Elastic-Plastic Fracture Resistance Curve(탄소성 파괴 저항곡선)
#Elastic-Plastic Fracture Toughness(탄소성 파괴인성)
#Elevated Temperature Low Cycle Fatigue(고온저사이클피로)
#Fatigue crack opening-closing behavior(피로균열 개ㆍ폐구 거동)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피로균열진전거동)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피로균열전파속도
#Fatigue Fractured Surface 피로파면
#Forward plastic zone(전방 소성역)
#Fracture ductility(파단연성)
#Fracture resistance curve 파괴저항곡선
#Fracture toughness(파괴인성)
#Gas piping material 가스배관재
#Gas piping meterial 가스배관재
#Half-Value Breadth 반가폭
#J-integral J적분
#J-integral(J적분)
#J-R Curve(파괴저항곡선)
#J-R Curve(J-저항곡선)
#J-R curve파괴저항곡선
#J-Resistance curve 파괴저항곡선
#Load Ratio Analysis(하중비해석)
#Load-Displacement Curve(하중-변위선도)
#Loading Waveform(하중파형)
#Local fracture strain 국부파괴변형률
#Material tearing modulus 재료의찢어 집계수
#Material tearing modulus 재료찢어짐계수
#Material Tearing Modulus(재료의 찢어짐계수)
#Modified J-integral(수정 J적분)
#Nil Ductility Temperature(무연성 온도)
#Offset Technique(오프셋법)
#R-curve(R곡선)
#R-curve(R-곡선)
#Reactor Pressure Vessel Steel(원자력 압력용 기강)
#Residual Stress 잔류응력
#Reversed plastic zone(역 소성역)
#Side grooved 측면홈
#Single specimen unloading compliance method 단일시험편 해중법
#Strain hardening 가공경화
#Stress Intensity Factor 응력확대계수
#Stretch zone width 스트레치존폭
#Stretched Zone Width(스트레치존 폭)
#Tearing Modulus(찢어짐계수)
#Temperature effect(온도영향)
#Transgra-nular Dimple Fracture(입내 딤플파괴)
#Trapezoidal Waveform(사다리꼴파형)
#Unloading Compliance Method(제하컴플라이언스법)
#Unloading Compliance(제하 컴플라이언스)
#Unstable crack growth 불안정균열성장
#Unstable Crack Growth(불안정 균열성장)
#X-ray Diffraction X-선회절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