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진태 논문수  · 이용수 9,756 · 피인용수 77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2008년 촛불집회
#2016년 광화문 촛불집회
#2018 inter-Korean summit
#2018년 남북정상회담
#가정 스케일
#계급
#공간
#교육매체
#구별짓기
#국가
#국가론
#국가-자연
#국가-자연 관계
#글로벌-로컬 이분법
#기후변화
#노동자 국제주의
#다중스케일적 접근
#도시재해
#도시정치생태학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
#로컬 공동체 노조운동
#로컬리티
#르네상스 시티 프로젝트
#리슈만편모충증
#마린시티
#물질성
#민족주의
#발전주의 국가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
#발전주의 도시성
#번역
#부산
#북한도시
#북한여성
#불균등발전
#비판적 자연지리학
#빗물마을
#사회운동
#사회적 공간
#세계도시
#센텀시티
#스케일
#스펙터클의 정치
#싱가포르
#여성운동
#여성주의
#여성주의 지리학
#영역성
#원자력 발전소
#위험경관
#위험사회
#유럽
#융복합 연구
#의존의 공간
#이탈리아 마피아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
#인스타그램
#자연의 사회적 구성
#자연-인문지리학의 이분법
#장소
#적응
#정치생태학
#중구역
#지도화
#지리과 통일교육
#차이들을 위한 영역화
#차이의 정치
#코로나 바이러스
#코스모폴리타니즘
#코스모폴리틱스
#페미존
#평양의 강남
#행위자-연결망 이론
#Actor-Network Theory
#Adaptation
#Busan
#candlelight protest
#Centum City
#Chung-guyok
#class
#Climate change
#convergence research
#cosmopolitanism
#cosmopolitics
#COVID-19
#critical physical geography
#developmental state
#developmental urban matrix
#developmental urbanism
#distinction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educational media
#Europe
#feminism
#feminist geography
#Femizone
#Gangnam of Pyongyang
#Global City
#Global-Local Dichotomy
#GM대우
#GM-Daewoo
#Instagram
#Italian Mafia
#Labor Internationalism
#leishmaniasis
#Local Community Unionism
#Locality
#mapping
#Marine City
#materiality
#more-than-human riskscapes
#multi-scalar approach
#nationalism
#North Korean city
#North Korean women
#nuclear power plant
#physical-human dichotomy in geography
#place
#political ecology
#politics of difference
#Rain Water Village
#Renaissance City Project
#risk society
#riskscape
#scale
#Singapore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social movement
#social space
#space
#space of dependence
#state theory
#state-nature
#state-nature relation
#territoriality
#territorialization for differences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the politics of spectacle
#the scale of home
#the State
#Translation
#uneven development
#unification education in geography curriculum
#urban disaster
#urban political ecology
#women’s movement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