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발단과 초기 대응 : ‘역사왜곡’
Ⅲ. 역사분쟁의 확산
Ⅳ. ‘역사전쟁’에서 ‘역사외교’로
Ⅴ. 맺음말 : 역사분쟁 해소방안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역사의 의미(Meaning in History)
신학지남
1977 .06
역사교육에서의 ‘동북공정’과 민족주의
역사교육
2005 .09
국사를 넘어선 역사교육
대구사학
2016 .01
[총설] 최근의 한중관계사·한일관계사 연구의 쇄도와 새로운 동양사 연구 방향의 탐색
역사학보
2014 .09
동북아 시대에서 한국사 서술과 역사교육 : ‘국사’를 넘어서
역사교육
2005 .09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Korean History
Korea Journal
2005 .03
중등 역사 교사의 역사 교과 지식 생산과 소통
역사와경계
2006 .06
유럽사적 시각에서 본 동북공정과 민족주의
인문학논총
2007 .02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ㆍ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韓國史學史學報
2003 .01
나의 역사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04 .01
破邪顯正의 역사 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01 .01
송은영, 『서울 탄생기: 1960~19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푸른역사, 2018)
문화과학
2019 .03
역사는 다시 쓰여진다
韓國史學史學報
2003 .01
‘when’과 ‘then’의 역사에 대하여
영어학연구
2002 .01
나의 역사연구를 뒤돌아본다.
韓國史學史學報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