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연구 아시아문화연구 제15집
발행연도
2008.11
수록면
205 - 232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orean correspondence for the history disput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Korean correspondence was sorted in three times. That is, 1) from July 2003 to June 2004, 2) from July 2004 to August 2006, 3) before and after September 2006.
When China distorted the history of Goguryeo, the Korean strongly criticized it in the first time. Because the mass media made an issue of history distortion. A history dispute between Korea and China spread greatly in the second time. Though a verbal mutual understanding made ends meet between the two countries, but that was not able to block the diffusion of the history dispute. While a history dispute spread, the Korean looked at China in the object of the menace. Strain between the two countries rose in the third time, but the correspondence plan was groped for a middle long term, too. That is, Korean correspondence was changing from "History War" to "History Diplomacy".

목차

Ⅰ. 머리말
Ⅱ. 발단과 초기 대응 : ‘역사왜곡’
Ⅲ. 역사분쟁의 확산
Ⅳ. ‘역사전쟁’에서 ‘역사외교’로
Ⅴ. 맺음말 : 역사분쟁 해소방안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