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도시재생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는 지금, 과거에는 도시의 가장 활성화된 중심지였으나, 지속적인 쇠퇴로 인하여 침체되고 있는 구도심에 대한 재생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공공디자인사업을 통한 구도심 지역의 상업가로 재활성화가 늘어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관련 사업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Methods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사업을 통한 구도심 상업가로의 도시재생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공디자인사업을 계기로 도시재생에 성공한 부산시 ‘광복로 문화거리’와 관련사례인 울산시 중구의 ‘문화의 거리’ 및 창원시의 ‘창동예술촌’을 사례로 공공디자인사업의 내용, 주체, 과정 및 재활성화 계기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Results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과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로(街路)의 특정 부문만을 대상으로 한 개별적인 사업에서 벗어나, 가로 전체를 다루는 통합적 공공디자인 사업 및 주변지역과의 연계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공공이 주도하는 사업이 아니라, 상인ㆍ전문가ㆍ공공이 함께 참여하는 협치(governance)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이 사업의 주체로 참여하여야 한다. 셋째, 일회성의 물리적인 가로조성사업이 아니라 사업 완료 후에도 하드와 소프트웨어 양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유지관리 및 신규 아이템의 개발 등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Conclusion 가로는 도시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장소이다. 상업가로의 활성화는 곧 도시의 활성화이므로, 구도심재생은 구도심 상업가로의 재활성화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Background As the importance of urban regeneration increases, the urban regeneration of neglected downtown areas is initiated as a priority. The researched area was formerly the liveliest part of the city but it became stagnated.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streets in neglected downtown areas through public design is rising as an alternative plan for urban regeneration and several such projects are activ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asic study on urban regeneration in neglected downtown areas. Methods I have selected three sites: "Gwangbok-ro Cultural Street" in Busan City; Jung-gu ‘Cultural Street’ in Ulsan City; and ‘Changdong Art Village’ in Changwon City for the case study. I have also analyzed three cases by contents, maker, process and motivation of regeneration. Those streets are major commercial streets in neglected downtowns areas in the three big cities of Korea’s south-east region. These have been recently regenerated through public design project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rom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1. Public design projects need to integrate design projects. 2. Organization based on a system of governance is required as the street makers. 3. Sustainable management and upgrading of new items are required. Conclusion People say that streets are primary places for city life. As the vitality of the street can make the city active, we can achieve regeneration of the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streets in neglected downtow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