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Peter Clar (Universität Wien)
저널정보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연구논총 여성연구논총 제16집
발행연도
2015.2
수록면
5 - 31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우선 젠더에 대한 여러 이론적 구상을 엘프리데 옐리넥의 작품에 적용한 몇몇 텍스트를 개관한다. 이어『옐리넥의 작품에서 그리고 옐리넥과 함께 하는 성에 대한 탈 구성 혹은, "여성"작가는 "여성"작가이다는 "여성"작가이다?!』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집중한다. 옐리넥의 글쓰기와 관련하여 성의 수사학적 특성에 대해 제기된 문제가 그것이다. 이때 안나 바브카의 테제에서 시작한다. 즉,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핵심인 섹스와 젠더의 규정된 속성 (따라서 구별이 불가능한 이 두 개념의 속성 포함), 그리고 폴 드 망의 자전적인 것에 관한 구상을 텍스트 읽기와 이해를 위한 도구로서 함께 생각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는 옐리넥의 『죽음과 소녀 V』에 대한 독해법을 제안한다. 성의 이분법 영역에서, 또 그 외 다른 (항상 위계질서에 따라 나뉘지만, 겉보기에는 자연적으로 주어진) 반대 개념들의 영역에서 이원적으로 대립된 개념들의 탈 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독해법이 그것이다. 성 정체성들이 무너지게 되면서 정체성에 관한 다른 가설들도 함께 무너지게 된다. 또한 그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는 버틀러의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Bodies that Matter』, 드 망의 『가면극 유희로서의 자서전』, 바브카의 『차단됨. 젠더 그리고 자서전의 전의적 표현들』 외에도 특히 쟈크 데리다의 해체적인 이론을 개략적으로 적용한다.

목차

Ⅰ. Feminismus? Gender? (Von fehlender) Begriffsarbeit
Ⅱ. Gender - (und) Dekonstruktion in Elfriede Jelineks Texten
Siglen und Literaturverzeichnis
국문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37-001300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