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혜금 (영남대학교) 천은진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생물치료정신의학 생물치료정신의학 제21권 제2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81 - 94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that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 of disability, morbidity and mortality. Depression is a heterogeneous disorder, and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 of several factors including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available biomarkers in depression, which is detectable biological character reflecting pathogenic process or treatment response. They include neuroendocrine system such as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flammatory markers, neurotrophic factors, fatty acid markers, sleep factors, structural brain images and functional brain images. Understanding biomarkers is essential for classifying the clinical features of depression and subsequently help determine individualized treatment for each subgroup. This article reviewed literatures about biomarkers in depression, in order to reconsider potential clinical use of it.

목차

서론
신경내분비 체계(Neuroendocrine Systems)
염증 인자들(Inflammatory Markers)
지방산 인자(Fatty Acid Markers)
신경영양적 인자(Neurotrophic Factors)
수면(Sleep)
구조적 뇌영상(Structural Brain Images)
기능적 뇌영상(Functional Brain Images)
우울증 생체 지표의 통합적인 모델(Integrative Model of Biomarkersin Depression)
우울증 생체 지표의 임상적인 이용(Clinical Application of Biomarkersfor Depression)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6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13-001657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