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김집의 가계 및 생애
Ⅲ. 김집 학문의 사상사적 특징
Ⅳ. 결론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一齋集
민족문화
1989 .12
16세기 양반가 婢 乭今의 일상과 乳母 使喚 :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2015 .12
益齋集
민족문화
1979 .12
하곡 정제두의 도덕철학
양명학
2005 .02
先秦儒家의 愼獨의 수양론적 의미
중국문학
2014 .01
김장생(金長生) - 김집(金集) 계열의 학문 및 정치적 역할
역사문화논총
2007 .02
고대국어의 음운 : 박병채(1971)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2012 .05
서울말의 母音體系
어학연구
1971 .12
第5回 語學硏究會 言語學分科 討論會錄 : 國語의 母音體系
어학연구
1971 .12
《中庸》 第1章 疏解
동아인문학
2007 .06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2001 .09
학문의 큰 별 갑자기 지다니요?
비교민속학
2000 .02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2000 .12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2000 .06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2000 .03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1999 .12
[나의 책 나의 학문] 나의 책, 나의 학문
새국어생활
200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