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산업별 효율성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OECD STAN Database를 활용하여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고, 산업별 OECD 국가들의 효율성에 대한 수렴성을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5년부터 2014년까지이고, 공간적 범위는 OECD 35개국 중 데이터가 부족한 3개국을 제외한 31개국이다. 분석 대상 산업은 1차산업,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의 4개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최근 들어 한국의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부문에서의 효율성 지수는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한국의 건설업 부문의 효율성 지수는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런데 효율성 지수는 각 년도의 국가들 간 상대 비교를 의미하기 때문에 년도 간 비교가 가능하지 않다. 한편, 수렴성은 년도 간 비교가 가능해야하기 때문에, 효율성 지수 역시 시계열 데이터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전환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연도별로 효율성 지수가 높은 국가들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바탕으로 산출한 효율성 지수를 연도별 가중치로 활용한다. 이렇게 연도별 가중치가 적용된 산업별 효율성 지수를 군집분석을 통해 고효율 그룹, 중효율 그룹, 저효율 그룹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클럽 수렴성을 검정한 결과, 농업부문의 경우 한국은 상위그룹 중에서 최상위 수준을 위치하고 있지만 그룹 내 또는 그룹 간 효율성 격차가 완화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이 한국보다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달성하는데 있어 크게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의 경우 그룹 내 격차는 완화되고 있지만 그룹 간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이는 중위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의 경우 중위그룹과의 효율성 격차가 크지 않은 반면 상위그룹으로 도약하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한국의 제조업 부문 효율성은 하락세이고 건설업과 서비스업의 효율성은 정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rying to estimate efficiency by industry in Korea with OECD STAN Database and test convergence of the estimated efficiency. The analysis data is panel data including 31 countries out of 35 OECD countries from 1995 to 2014. The industries to be analyzed are the primary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 construction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the efficiency indexes in the primary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in Korea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in recent years.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cy index of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is lower than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By the way, it is impossible to compare the efficiency indexes by year because it is a relative comparison of efficiency among countries by year. Therefore efficiency index should be re-calculated to test convergence in industry efficiency. At first, another efficiency index is estimated by analyzing countries high efficiency index by year. The adjusted efficiency index is the original efficiency index multiplied by it. In this way, the efficiency index of each industry is divided into high efficiency group, medium efficiency group and low efficiency group by cluster analysis. The result to test convergence in industry efficiency showed that Korea has the highest level of efficiency in the primary industry. However since the efficiency gap between group that includes Korea and other group is converged, it is not difficult for other countries to achieve higher efficiency than Kore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service, the efficiency gap among the countries within the group has been converged, but the gap among the groups is widening. This implies that Korea, which is included in the middle-level group, has difficulty in leaping into the upper group. Moreover,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has been declining and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has been stagn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