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노영창 (한국원자력연구원) 유승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유리 (이비테크(주)) 강원구 (EB Tech Co. Ltd.) 정승태 (이비테크(주)) 이지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동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진규 (이비테크㈜)
저널정보
한국방사선산업학회 방사선산업학회지 방사선산업학회지 제13권 제3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295 - 303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lastic pipes are usually made by polybutylene (PB), poly(vinyl chloride) (PVC), ethylenepropylene rubber (EPR),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propylene (PP), crosslinkedpolyethylene (PE-X), etc. Especially PE-X pipes have toughness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 andhigh pressure, and have long-term usable features. For example, the maximum service temperatureand pressure of PB are known to be 90°C and 0.4 MPa, respectively, whereas PE-X pipes withstand110°C, and the maximum service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95°C and 0.65 MPa. PE-X has verygood toughness, environmental crack resistance, slow crack grip resistance, and also has resistanceto electrolysis, corrosion and chemicals. Its advantages over competing materials such as steel andcopper pipes include speed and ease of installation, low cost of materials, durability and flexibility. In general, PE pipes are divided into non-crosslinked and crosslinked ones. PE-X pipes are used inlarge quantities in plumbing pipes that circulate hot water because of their high heat resistance, andthe market is growing rapidly. The technology and status of PE-X pipe processing are discussed inthis articl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