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사이버스페이스 존재론 : 현실과 가상, 물질과 비물질의 이원론
3. 공간, 장소, 우주
4. 헤테로토피아: 내부와 외부
5. 우주 혹은 집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주, 우주론, 우주철학의 문제들: 우주론의 고고학을 위한 시론
철학연구
2020 .09
메타버스의 기독교교육 적용방안
기독교교육 논총
2022 .06
우주로 톡!
창비어린이
2022 .12
우주적 외 1편
문학들
2021 .08
바람직한 교육적 패러다임으로서 메타버스의 지향점
동아인문학
2022 .09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안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04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 문학적 기원에 기초한 미학적 해석
美學(미학)
2017 .01
교과서 우주기원론에 나타난 서술적 문제점 분석
Origin Research Journal
2023 .04
푸코의 바깥의 공간과 헤테로토피아 공동체
시대와 철학
2022 .06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국어국문학
2019 .03
대폭발 이론과 성서적 우주론
신앙과 학문
2015 .06
[만남] 내 안의 우주를, 우주라는 거대한 자연을
월간에세이
2022 .02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메타버스 기술 적용에 대한 인식
주관성 연구
2023 .03
‘헤테로토피아’로서 메타버스 읽기: 닐 스티븐슨의 『스노우 크래쉬』 경유하기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03
메타버스를 이용한 영어학습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비교분석
영어영문학
2023 .05
메타버스 이해를 통한 교회교육의 원리와 그에 따른 적용점 연구
선교와 신학
2022 .06
매체공간, 확장된 현실 그리고 헤테로토피아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22 .08
메타버스 시대에 현실과 디지털 자아의 상관관계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4 .12
새로운 패러다임, 메타버스 속 언어재활의 현재와 미래
코기토
2022 .06
우주가 아름다운 이유
월간에세이
2018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