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윤아연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정이루리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국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이고 일반화할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학술지 23편과 학위논문 9편을 포함하여 총 32편을 메타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신체활동을 체육의 주요 가치에 해당하는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효과크기는 CMA2(Comprehensive Meta Analysis, v2)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총 32편의 연구에서 총 197개의 효과크기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909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종속변인 중 심동적 영역(ES=1.065)에 대한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관련변인의 경우 유아와 아동보다 청소년(ES=1.031)이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중재 관련변인 중 중재유형의 경우 감각지각운동(ES=1.146)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자폐스펙트럼장애인에게 신체활동은 전인적 발달에 매우 효과적이며, 향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계획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할 것 이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문제 6
4. 연구의 제한점 7
5.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10
(1) 자폐스펙트럼장애 정의 및 특성 10
(2)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및 원인 12
2.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13
(1) 신체활동의 정의 및 특성 13
(2) 신체활동의 중요성 14
3. 메타분석(Meta-Analysis) 15
(1) 메타분석의 정의 및 특성 15
(2) 메타분석의 절차 17
(3) 효과크기 19
(4) 동질성 검사 19
4. 선행연구 20
(1)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20
(2) 신체활동 참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선행연구 22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연구 절차 27
3. 자료 분석 28
(1) 효과크기 산출 28
(2) 동질성 검증 31
4. 자료 처리 33
Ⅳ. 연구 결과 34
1. 분석 대상 논문의 특성 34
2. CMA 메타분석 38
(1) 전체 평균 효과크기 38
(2) 연구에 대한 기본정보 효과크기 38
(3) 연구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 39
(4) 중재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39
(5)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40
(6) 영역별 신체활동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41
Ⅴ. 논의 43
Ⅵ. 결론 및 제언 38
Ⅶ. 참고문헌 51
Abstract 56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