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58
2023
국문초록 ⅰ목차 ⅴ표 목차 viii그림 목차 x제 I 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3제 2 장 이론적 배경 51. 소셜 로봇 (Social Robot) 51.1 소셜 로봇 개념 51.2 소셜 로봇 종류 91.3 유아를 위한 소셜 로봇 특징 121.4 유아를 위한 소셜 로봇 종류 151.5 소셜 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182.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212.1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개념 212.2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유아 특징 242.3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유아의 소셜 로봇 종류 및 효과 283.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 훈련 방법 323.1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 훈련 방법 323.2 상황이야기 373.3 역할놀이 383.4 문제해결능력 40제 3 장 연구 방법 421. 소셜 로봇 대화 프로그램 422. 전문가 검증 533. 실험 진행 623.1 실험 참여 대상 623.2 실험 도구 633.2.1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 633.2.2 소셜 로봇 643.3 실험 절차 663.4 실험 규칙 683.5 자료 수집 및 분석 694. 인터뷰 진행 724.1 양육자 인터뷰 724.2 전문가 인터뷰 74제 4 장 연구 결과 751. 소셜 로봇 대화 프로그램 실험 결과 751.1 대화 수행도 비교 751.2 어휘 다양도 비교 771.3 감정 단어 사용 비교 791.4 인터랙션 비교 811.5 평균 발화 길이 비교 831.6 양육자 만족도 비교 851.7 대화 프로그램 비교 결과 종합 872. 인터뷰 결과 892.1 양육자 인터뷰 결과 892.1.1 양육자 소셜 로봇 기대사항 인터뷰 결과 892.1.2 양육자 사전/사후 인터뷰 결과 902.2 전문가 인터뷰 결과 93제 5 장 연구 결론 951. 연구 결론 952. 연구 논의 983. 연구 한계 및 제언 102참고문헌 103Abstract 1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