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공지 학술연구지원 네트워킹지원 콘텐츠 교육 뉴스

고객센터

연구 논문

연구 단체 지원

“학문의 경계를 넘어, 미국까지 뻗어나가는” - 아카루트 융복합 연구모임 1기를 만나다(1)

복합학 > 학제간연구

DBpiaX아카루트는 학문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지식의 장을 펼치고자 모인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해 첫 시작한 ‘융·복합 연구 모임 지원’ 사업의 1기 연구 모임들을 차례로 소개합니다.

 

2024년 11월 9일, ‘7포세대가 직접 말하는 저출산 문제:2030세대는 정말 비혼과 비출산을 스스로 선택한 것인가’라는 주제로 연구 중인 김지은(순천향대학교 보건학 박사수료), 심기열(경북대학교 사학 석사), 이선영(숙명여자대학교 동아시아지역학 박사과정), 문은미(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선생님(총 4인)을 아카루트 담당자가 만나 보았습니다.

 

이 모임은 대학원생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모임원을 모집했다고 하는데요. 그 결과로 전공도, 지역도 전부 다른 연구자들로 이뤄진 이 모임은 그야말로 사업의 의의에 딱 맞는 ‘경계를 넘나드는’ 네트워킹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학문적인 것’과 ‘비학문적인 것’의 경계도 넘나들고 있었습니다. 누군가 우연히 발견한 SNS 피드 게시물을 공유했는데, 알고 보니 해당 게시물 작성자가 미국에서 활발히 연구 중인 인구학자였고, 그와 화상회의를 통해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하네요. ‘비학문적인 것’으로 치부될 수 있었던 SNS 게시물까지도 편견 없이 수용하고 ‘학문적으로’ 접근한 결과, 국제적인 연구 교류의 장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정말 즐거운 듯한 표정으로 이런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우리는 모두 전공이 다른 만큼 연구주제를 설정하는 방법도, 주로 활용하는 연구방법론도, 연구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법도 모두 다르거든요. 서로가 다르다는 걸 아니까 어떤 아이디어든 자유롭게 내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 같아요. 

 

인터뷰 및 참여관찰에 응해주신 네 분의 연구자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DBpiaX아카루트는 앞으로도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킹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글 2020년 연구 단체 지원 사업 (2)

2023.08.23

다음글 “서로의 다름을 마주하고, 함께 성장하는” - 아카루트 융복합 연구모임 1기를 만나다(2)

2024.12.09

목록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