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문화사학회 문화사학 文化史學 第21號
발행연도
2004.6
수록면
479 - 517 (3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통일신라 석불대좌는 3종형식으로 구분된다. Ⅰ 형식은 方形을 基本으로하여 연판을 첨가하는 것이며, Ⅱ형식은 팔각대좌로 충급과 굽형괴임의 삽입유무에 따라 3종으로 다시 세분된다. Ⅲ형식은 Ⅱ 형식을 기본으로 한 변형형식이다. 중대석이 원형을 이루고 표면에 괴운, 용, 사자 등이 조각된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大邱 桐華寺毘盧庵ㆍ星州 金鳳里의 毘盧遮那佛像 2구가 대표적이다.
불상의 양식뿐만 아니라 대좌의 變化, 특히 연화ㆍ중대석과 하대석에 표현된 공양상, 사자 등도 통일신라 조각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사각대좌가 시기적으로는 선행하나 통일신라에서는 팔각 대좌가 우세하게 제작되었다. 8세기 전반까지는 굽형괴임이 별석으로 표현되지 않거나 하대석 상부에 모각될 뿐이나 8세기 말 이후부터는 別石으로 제작되어 하대석과 중대석 사이에 삽입되고 있어 편년 판단의 역할을 담당한다.
9세기말~10세기 초부터는 前代에 유행한 Ⅰ 형식의 방형대좌가 재등장한다. 淸凉寺, 靑龍寺, 橫城邑下里, 高達寺址, 澗松美術館 石佛臺座 등은 이 시기 석불대좌를 대표하는 예에 속하는데, 고려 초까지 앞선 Ⅱ형식 대좌를 대치하는 樣相을 보여준다.
8~9세기는 석조미술이 크게 융성하던 시대였다. 석불대좌는 이러한 시대 조류를 반영하여 石塔과 浮屠, 石燈과 유기적인 관계하에 발전하였다. 따라서 당시 석조미술의 보편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상과 직접적인 연관하에 대좌에 국한된 특수한 조형체계도 규명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形式 分類
Ⅲ. 細部造形과 表面莊嚴
Ⅳ. 美術史的 意義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910-016647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