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鐘讚 (안동대학교)
저널정보
중국어문논역학회 중국어문논역총간 中國語文論譯叢刊 第45輯
발행연도
2019.7
수록면
103 - 119 (17page)
DOI
10.35822/JCLLT.2019.07.45.10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現代漢語詞典》에서는 “靠近”을 동사로 본다. 《現代漢語詞典》이 중국에서 영향력이 큰 관계로 많은 사전이 이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관점이 전적으로 정확하다고는 보지 않는다.
중국에서 출간된 사전은 일반적으로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하지 않고 있다. 저자가 보기에는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함이 본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
“靠近”이 목적어를 가질 때 즉 타동사로 쓰일 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동작 · 행위와 관계된 타동사이고 다른 하나는 동작 · 행위성과 무관한 타동사이다. 여기서 저자가 진일보해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도 후자와 관련된 것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靠近”이 형용사와 타동사 두 詞性을 갖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출간된 사전을 보면 그 釋義가 구분이 없다. 형용사 “靠近”과 타동사 “靠近”의 釋義가 서로 관계가 깊을 수는 있어도 똑같을 수는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他家靠近運河”에서 “靠近”은 동작 · 행위성이 없는 타동사이다. 여기서 이 문장은 “他家和/與運河接近”으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며, “和/與……接近”이 바로 타동사 “靠近”의 뜻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외에 “靠近”은 형용사로도 쓰인다. 예를 들면 “兩個商店十分靠近”에서 “靠近”은 목적어를 가질 수 없고 동작 · 행위성이 없고, 또한 정도부사 “十分”의 수식을 받는다. 이 경우 “靠近”은 형용사 “接近”의 뜻이다.
이로서 종합해서 보건대 “靠近”은 타동사 외에 형용사로도 쓰이며 뜻에 있어서도 구별이 됨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제요
1. 序言
2. “靠近”的动词说
3. “靠近”的形容詞性
4. 形容词“靠近”与性质、状态性及物动词“靠近”的词义
5. 结论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820-000868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