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박물관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문화관광의 거점이며, 박물관이 지역의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문화자원임을 인식하고 시작되었다. 오늘날 박물관은 대중을 위한 교육의 장이며, 시민을 위한 휴식공간의 역할이 요구되는 등 대중과 함께하는 박물관으로서 달라진 문화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전통도자문화콘텐츠의 확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물관 공간의 역할변화에 따른 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운영현황과 전통도자문화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관광서비스와 박물관의 변화에 따른 지역박물관의 문화콘텐츠에 대하여 문헌자료와 사례를 통하여 서술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공립도자박물관 현황, 그리고 전남지역 공립도자박물관의 정체성과 관련된 전통도자문화를 살펴보고, 지역박물관 문화콘텐츠를 전시, 체험 및 교육, 문화상품, 휴식공간의 특성과 현황을 실제 운영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문화콘텐츠는 관광패러다임을 고려한 관광서비스의 다양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서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기술은 전통도자를 주제로 한 문화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콘텐츠로 현재 전남공립도자박물관의 디지털 콘텐츠가 주로 유아나 어린이 대상의 콘텐츠로 한정됨에 따라 연령범위를 확대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디지털콘텐츠의 확장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디지털 콘텐츠의 범위를 체험 및 교육으로 확장하여 지식의 습득을 돕고 문화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체험기회 제공으로 색다른 교육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박물관이 전통계승과 창조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역 공립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의 다양한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관광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은 자연경관, 레저환경 그리고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편의제공을 통해 지역관광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써 박물관이 지역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지역전통도자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독창적인 창작콘텐츠를 개발·운영하는 작은 동기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도 관광서비스를 융합한 전통도자 문화콘텐츠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rior to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a local museum is a base for regional cultural tourism marketed for tourists and museums ar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 tourism. Museum is an educational place for the messes as a cultural space. These days, cultural services of museum have changed in other ways, that it is required to play a role as rest area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s importance continues to gr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ourism service. Therefore, this research is provide the operation ststus of local public ceramics museums and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nging role in the museum space. In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described the literary data and cases of cultural contents of local museums according to changes in museums and tourism service.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the traditional ceramic culture related to the identity of public ceramic museums, and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exhibi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products, and rest area of local museums through the actual operating c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ltural contents of museums need to build diversification of services based on tourism paradigm. The museums could extend their social role through this. Second, the digital technology is the contents that enrich the cultural contents under the theme of traditional ceramics. Currently, the digital contents of Jeonnam Public Ceramic Museum are limited to the contents mostly for infants or children, s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at could expand the range of age can bring about the expandability of digital contents. Thir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digital contents to experience & education could help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feel interest in culture, which could provide an unique educational experience. The museums could also expand their pivotal role in local culture for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creative development. Fourth, the effects of tourism could be enhanced by connecting with various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where a local public museum is located. When Jeonnam raises the satisfaction with local tourism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focusing on natural landscape, leisure environment, and museums, the museums could become the priming water for local development. This study attaches importances that local traditional ceramics cultural contents keep their local identity and offer motivation to run creative contents. Many different perspectives need to be conducted after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