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Ⅰ. 머리말
Ⅱ. 가봉의궤와 태실석물
Ⅲ. 석조부도의 성격과 선행연구 분석
Ⅳ. 석조부도와 태실석물 비교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원도 지역 석탑 조영(造營)의 양식적 교류양상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胎室 石物의 미술사적 계승과 변천
사림
2015 .01
高麗 石塔의 建立背景과 製作技法 硏究
문화사학
2015 .06
9世紀 新羅 獅子像 考察: 八角臺座와 八角圓堂形 僧塔을 中心으로
문화사학
2020 .12
조선시대 胎室의 역사고고학적 연구
영남학
2015 .01
고려시대 태실에 관한 고고학적 시론
江原史學
2015 .01
봉인사세존사리탑의 이주내력과 조형*
한국불교사연구
2019 .01
조선시대 태실의 입지에 대한 재검토
대구사학
2015 .01
원주 興法寺址 石造美術의 特徵과 意義
인문과학연구
2015 .09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비파괴 훼손도진단과 입지환경 검토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예천지역 왕실의 태실조성과 지역사적 의의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간다라 불탑의 특징과 변천에 대한 고찰
강좌 미술사
2021 .01
조선전기 부도(浮屠)의 건립 현황과 미술사적 의의
불교학보
2019 .03
高麗時代 石塔의 造形性과 裝飾性에 대한 試論 : 奉化 無盡藏寺址 石塔을 中心으로
문화사학
2015 .06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의 특징과 조성 배경
전북사학
2022 .03
韓國 靑銅器時代 環狀列石에 대한 小考
유라시아문화
2020 .02
韓國 近代期 石塔의 建立 現況과 特徵
문화사학
2020 .12
18세기 후반 정조대 ‘元子’의 탄생과 胎室의 조성 : 『胎峯謄錄』과 『元子阿只氏安胎謄錄』을 중심으로
장서각
2016 .04
성곽(城郭)에서 출토되는 석환(石丸)의 기원과 기능 및 활용
야외고고학
2018 .01
최순우 선생의 석탑과 석조 미술사 연구
강좌 미술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