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0
1. 서론 11.1. 연구 목적 11.2. 연구 대상 41.3. 한국어 결과구문에 대한 선행 연구 121.4. 논의의 구성 212. 기본논의 242.1. 결과구문의 개념과 유형 252.1.1. 전통적인 ‘결과구문 (Resultative Construction)’의 개념 252.1.2. 확장된 결과구문의 개념 322.2. 중국어 결과구문 372.2.1. 중국어 보어의 결과표시 기능 392.2.2. 중국어 결과구문의 유형과 특징 482.3. 한국어 결과구문에 대한 개념 정의 및 범위 구획 592.3.1. 한국어 결과구문의 개념 602.3.2. 한국어 결과구문의 유형 673. ‘XP게+V’형 결과구문 813.1. 어미 ‘-게’의 성격 813.2. ‘XP게+V’형 결과구문의 획정 843.2.1. 사동 보조동사 결합형에 대한 처리 853.2.2. 결과를 표시하는‘VP게+V’의 유형과 특징 873.2.3. ‘AP게+V’형 결과구문의 유형과 특징 933.3. 방식(Manner)과 묘사(Depictive)를 나타내는 ‘AP게+V’ 1194. ‘NP로 V’형 결과구문 1274.1.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NP로 V’의 성격과 범위 1274.2. 위치변화 ‘NP로 V’구문의 유형과 특징 1424.2.1. 자동사 위치변화 ‘NP로 V’구문 1444.2.2. 타동사 위치변화 ‘NP로 V’구문 1504.3. 상태변화 ‘NP로 V’구문의 유형과 특징 1584.3.1. 사역이동 동사로 상태변화를 나타내는‘NP로 V’ 1594.3.2. 상태변화 ‘NP로 V’구문에 쓰이는 동사의 부류 1644.4. 산출구문 1824.4.1. 한국어 산출구문의 종류와 특징 1844.4.2. 산출구문과 ‘NP로 V’ 결과구문의 연관관계 1884.4.3. 중국어 결과구문과 산출구문의 연관관계 1995. ‘V1어 V2’형 결과구문 2075.1.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1어 V2’의 성격과 범위 2095.2. ‘V1어 V2’ 의 결과표시 기능 2225.3. ‘V1어 V2’의 상(相, aspect) 표시 기능 2275.4. ‘V1어 V2’의 사건 통합 표시 기능과 구문적 성격 2316. 결과구문에 대한 한·중 대조 분석적 고찰 2366.1. 한·중 결과구문의 결과 부호화 양상 비교 분석 2366.1.1. 결과 표시 성분의 위치 및 문법범주에 따른 비교 2376.1.2. 한·중 결과구문이 표시하는 결과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2396.1.3. 한·중 결과구문과 영어 결과구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2446.2.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한·중 결과 표현 대응양상 고찰 2496.2.1. 하나의 동사로 대응 2526.2.2. ‘V1어 V2(...)’구문으로 대응 2616.2.3. ‘X게+V’구문으로 대응 2726.2.4. ‘X도록+V’구문으로 대응 2746.2.5. ‘NP로+V’구문으로 대응 2756.2.6. ‘NP에+V’구문으로 대응 2796.2.7. 부사로 대응 2826.2.8. 기타 대응 283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결과구문 교육 2887.1. 교육의 필요성 2897.2. 결과구문에 대한 한국어 교육적 연구 현황 및 교육 현황 2927.3.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결과구문 습득 현황 3117.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결과구문 교육에 관한 제언 3238. 결론 3338.1. 정리 및 요약 3338.2. 남은 문제 343참고문헌 346분석 자료 357Abstract 36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