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은경 (한국외국어대학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지도교수
조상영
발행연도
2021
저작권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9)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은 전 세계적인 흐름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한국의 K-12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과서 제작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중국의 인공지능 교육 관련 정책과 교과 표준 등의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허난인민출판사의 《인공지능 실험교재》 30권을 대상으로 교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K-12 인공지능 교육 관련 정책은 〈신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국무원과 교육부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정책과 표준들은 STEAM 교육 및 메이커 교육, 프로젝트 기반 학습 접근 방식을 권장하며, 인공지능, 컴퓨팅 사고력 및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오픈소스 하드웨어 등의 커리큘럼 콘텐츠를 강화하고 이론과 실습을 모두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등 초·중등 학교에 인공지능 교육과정 구축을 추진하는 지침을 제공한다. 중국의 K-12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과 표준의 하나는 교육부의 〈일반 고등학교 정보기술 교육과정 표준〉 개정판이다. 이 표준의 핵심은 선택필수 과목 중《인공지능 초보》로서 내용은 인공지능 기본, 단순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기술 개발 및 응용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인공지능 실험교재》는 K-12 전 과정을 다루고 있고, ‘사용’을 강조하는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교재이며 온라인 플랫폼과 함께 제공된다. 전체 교재의 체계는 총 30권에 걸쳐 일관성 있게 구성되지 않았으며, K-12 전 과정에 인공지능 내용 요소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중·고등학교 과정에 몰려 있다. 교재 내용과 개발 방향은 ‘AI/SW 융합 기초-AI 모델 디자인-AI 기술 확장’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국가 표준에서 강조한 컴퓨팅 사고력,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STEAM 교육 방법에 대한 실현이 부족하다.
중국 인공지능 교재 분석이 한국의 K-12 인공지능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차세대 소프트웨어교육 표준〉 모델에서 인공지능과 융합 부분을 더욱 구체화하고 K-12 전 과정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인공지능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K-12 전 과정에 걸쳐 내용 요소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한다. STEAM 교육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론과 실천을 결합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협업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7
3. 연구 내용과 방법 9
제 2 장 교재 내용 분석 기준 14
1. 한국 〈차세대 소프트웨어(SW) 교육 표준〉 모델 14
2. 미국 〈K-12 용 AI 국가 지침〉 18
제 3 장 중국 K-12 AI 교육 현황 25
1. AI 교육정책 25
2. 출판 교재 31
3. 교과 표준 35
4. 소결 51
제 4 장 교재 분석 54
1. 제작 배경과 플랫폼 54
2. 구성체계 56
3. 특징 62
4. SW 교육 내용 77
5. AI 교육 내용 95
6. 텍스트 빈도분석 111
7. 소결 126
제 5 장 결론 131
참고문헌 136
부록 143
ABSTRACT 16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