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世美 (延世大學校)
저널정보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논집 中國語文學論集 第97號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51 - 77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research analyzes the word order when time measure word and objects are used, and identifies key factors to restrict the word order. Generally, sentences with time measure word and object after verb is divided into 3 types; 1. V+T+N 2. V+N+T and V+N+V+T. Verb, object, time measure word and pragmatics constrains should be considered when choosing the word order.
This research accounts for the factors in 2 ways. First, it will be examined that how the feature of persistency of verb can influence time measure word and object. Specifically, persistency of verb are classified into 4 types; Non-persistent, Strong-persistent, Weak-Persistent and state-persistent and difference of the verbs is analyzed.
Second, it will be analyzed that how types of objects restrict word of order when time measure word and object is used. Frequency of object and time measure word is analyzed by dividing object into personal pronoun, general noun, quantifier.

목차

1. 들어가며
2. 동사의 지속성에 따른 어순
3. 빈어의 종류에 따른 어순
4. 나오며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820-00289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