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현황과 동향을 분석하여 체육교사들이 체육수업을 구성할때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3인으로 하여금체계적인 문헌수집과정과 분석작업을 통해 11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국내 특수학교 와 특수학급에서의 체육활동 현황 및 동향 조사를위해 1차 개방형 설문을 통해 9명의 특수학교(급) 체육교사로부터 수집하였다. 2차 설문은 1차 설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반구조화된 설문지로구성하여 29명의 특수학교 체육교사 및 학급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되는 단어와 주제로 분류하고 범주화한 후 전문가 회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선정된 자료에 따른 결과로는 학부모 및 가족의 주도적 참여가 장애학생들의 신체활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체육활동 시 적절한 강도의 자극이 근력, 유연성, 유산소성 능력을 향상시키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을 위해하루의 신체활동량을 나누어 실시하고 신체활동 범위를 줄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방과 후 체육활동은 사회인지능력 및 신체활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친다고 조사되었다. 설문지를 토대로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활동 시 종목 선정 및 수준별 진행에서는 수준별, 흥미유발을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고 하였다. 체육활동 시 스포츠종목별 기구 사용에 대해서는 수준별ㆍ유형별로 나누어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고 필요에따라 변형하여 사용한다고 하였다. 기본 교육과정 중심의 커리큘럼 구성에서는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장애학생들의특성, 정도, 요구 등에 따라 구성한다고 하였다. 개개인의 맞춰진 커리큘럼 구성시 주안점에 대해서는 신체능력, 수업이해도, 운동협응, 도전감, 성취감, 흥미 등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며, 개별화된 별도의 프로그램도 운영하며 건강증진과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고하였다. 체육교과 이외의 스포츠 클럽에 대해서는 특정종목에 따른 운동부 창설, e-스포츠 등을 운영한다고 하였다. 체육활동 시 고려사항에대해서는 대부분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와 장애학생들의 자신감회복, 신체발달, 흥미유발, 많은 활동 등에 초점을 맞춘다 하였다. 체육활동시제반사항 부족에 대해서는 보조교사 인력, 용품, 전문지식, 다양성, 시설이용의 어려움, 수업시간의 제약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approach in various ways when physical teachers organize a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analyzed a present situation and trend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special schools and class. For this purpose, three experts selected 10 studies by systematic literature collection and analysis through collect and analysis foreign literature data. To investigate a present situation and trend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special schools and class, open surveys were collected through eight special school and class physical teachers. Second surveys were collected by 29 physical teachers, consists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based on answers to the firs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decided by experts opinion after categorization and classified repeated words and topics. According to findings with collect data through literature analysis, leading participation of family and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f disabled students. And the physical activity improved strength, flexibility, aerobic ability by a stimulate of appropriate intensity. The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wareness and physical activity,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figure to reduce a range of physical activity and divide the daily amount of physical activity for students. The findings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s below. In the physical activity, selection of sports event and execution following a level appeared a proceeding to be feasible a level and a causing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about using the equipment following sports events appeared a piece of using appropriate sports equipment following the disable type and level, piece of using modified sports equipment when necessary. The curriculum configures of a core of basic curriculum were shown by core configured of basic curriculum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but were configu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level, needs. In an individualized curriculum, focus configured to feel about physical ability, motor coordination, challenge, sense of accomplishment, interest etc, and was induced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and promotion of health with a separate individualized program. A sport clubs other than physical education ran e-sports, established sports teams according to specific events. In physical activity, for consideration focused on it that was a following such as most safety accident caution, recovery of confidence of disabled students, physical development, causing interest etc. In physical activity, a shortage of various matters appeared that was a restriction in the class, teaching assistant, equipment, expertise, difficult of using the facilitie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