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자는 방과 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만지적장애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행동적응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인의 신체발달, 건강관리 및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행동적응을 파악하여 지적장애인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써의 운영여부를 확인고자하며 그 자료를 제공을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는 전라남도 M시에 위치한 M복지관의 방과 후 교실 이용자로 총 1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회당 50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출석률이 90%이상인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행동적응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2.00패키지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개체 간 그리고 개체별 측정항목들에 측정시기별 평균값의 차이는 대응 t-test와 반복이 있는 반복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정도를 확인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조성 중 체중, 체지방률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 골격근량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12주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체력 중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 근력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12주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1차 시기에서 가장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과 후 에어로빅댄스 프로그램이 비만지적장애인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행동적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By learning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and change of adaptive behavior in obese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through after school aerobic dance program, Understanding intellectual disabled's body composition, health management and general adaptive behavior in program so identify whether or not program's operation as health management program and offering that material was this research's goa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s client of after school class in M welfare center located in M city, Jeollannam-do, and exercised aerobic dance program for 14 weeks, 5 times in a week, 50 minutes in a time targeted total 10 persons, research was conducted on 7 people that percentage of attendance was 90% or higher.
For understanding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daptive behavior computed using SPSS 12.0 package, between each object and measurement items by object, difference of mean value by measurement period degree of significance was identified by using correspondence t-test and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significance level was p<.05 and all outcome was present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o,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First, change of body composition, change of body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12 weeks aerobic program, but skeletal muscle ma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change of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reflexi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12 weeks aerobic program, but muscular streng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Change of adaptive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12 weeks aerobic program, and most change was occurred in first period.
As stated above, I concluded that after school aerobic dance program was effected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daptive behavior in obese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