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배재권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로고스경영학회 로고스경영연구 로고스경영연구 제19권 제4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79 - 196 (18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스마트 헬스케어(Smart Health Care)는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information), 기기(device), 시스템(system), 플랫폼(platform)을 통합하는 산업분야로 건강관리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이다. 스마트 헬스케어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1) 인공지능이 방대한 양의 유전자 정보(의료빅데이터)를 스스로 분석 및 학습하여 질병을 예측, (2) 웨어러블 스마트 의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람의 생체신호(심전도, 혈압 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상 징후 발견 시 원격진료 연계, (3) 인공지능 기술이 탑재된 수술로봇이 실시간으로 영상을 분석하고 학습해 수술 집도 중인 의사에게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는 측정센서로 환자의 생체신호를 얻어오는 센싱단계(생체정보측정), 생체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는 모니터링 단계, 데이터마이닝과 같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으로부터 새로운 건강지표를 산출하는 분석단계, 건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피드백 단계와 같이 4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축적된 생체신호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건강지표를 산출하는 분석단계가 인공지능 헬스케어 서비스의 핵심이자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최근 인공지능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 바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이다. 정밀의료란 유전체, 임상정보, 생활환경 및 습관 정보 등을 토대로 보다 정밀하게 환자 각 개인을 분류하고, 이를 고려해 최적의 맞춤형 의료(예방, 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차세대 의료 패러다임이다. 정밀의료를 미래 의료산업의 새로운 핵심으로 인식하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기술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공지능 헬스케어 산업동향
Ⅲ. 스마트 헬스케어의 인공지능 기술
Ⅳ. 인공지능 헬스케어 사례연구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